google-site-verification=7gzPgnlWbOWGVASBvrZEphLOdDspIzmEkRT0ZzE_MeM
'After Action Review(이하 AAR)'는 미군에서 계발된 피드백 툴로서 성과를 피드백 하고 전략을 세우기 위해 사용된다. '에프터 액션 리뷰'의 뜻과 같이 목표를 실행한 후 리뷰하는 5단계 과정을 거치며 성과를 피드백한다. 이 과정에서 성공한 원리를 파악하고, 당면한 문제를 돌파할 전략을 세운다.
AAR 피드백 툴의 강점은 학습이다. 성취하고자한 것을 어떻게 달성할 수 있었는지 원리를 학습하고, 실패했다면 무슨 이유 때문에 실패했고, 장애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한 사고를 해야한다. 원인을 분석하고 문제를 돌파하기 위한 논리적인 사고를 요하는 과정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AAR 피드백은 다음과 같은 5가지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얻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 (What was expected to happen?)
2. 실제로 얻은 것은 무엇인가? (What actually occurred?)
3. 차이와 원인은 무엇인가? (What went well and why?)
4. 예기치 않은 성공과 실패는 무엇인가? (What are the unexpected things?)
5. 계속해야 할 것과 버려야 할 것은 무엇인가? (What can be improved and how?)
1. 얻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
개인이나 팀이 계획한 목표를 적는다. 프로젝트의 목표 또는 골, 의도한 목표의 결과, 생산된 결과 등을 적는다.
2. 실제로 얻은 것은 무엇인가?
목표 달성의 결과를 적는다. 달성한 결과를 객관적인 형태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목표가 '한 주간 매일 새벽 5시에 기상하기'였다면 3회 달성 또는 6회 달성 이런식으로 결과를 숫자로 나타낸다. 숫자는 가장 객관적인 지표이다.
3. 차이와 원인은 무엇인가?
목표를 이루기 위해 했던 행동들을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던(또는 달성에 실패한) 행동 패턴과 원리를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실천했던 행동들을 피드백 해야한다. 어떤 행동 패턴이 목표를 달성하게 만들었는가? 또는 반대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근본적 행동 원인은 무엇인가? 어느 점에서 액션이 부족(또는 적절)했는가?
차이와 원인을 피드백하기 앞서서 피해야할 두 가지 잘못 된 피드백이 있다.
a. 마음, 태도에 관한 요인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행동 요인으로 마음가짐에 대한 피드백은 의미가 없다. 대표적인 예로, '게을러서, 귀찮아서, 힘들어서' 등의 피드백은 성공(또는 실패) 원리를 발견하는 것에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피드백은 사건에 대한 행동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 예를 들어, 5시에 일어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피드백을 하자면 행동과 관련된 질문들을 던지고 패턴을 찾아야 한다. 전 날 늦게 잠을 잔 것인가? 무엇 때문에 늦게 잤나? 커피를 마셨나? 등의 행동들을 피드백 해야한다.
b. 외부적 요인
달성한(또는 달성하지 못한) 요인을 외부에서 찾는 피드백도 의미가 없다. 달성하지 못한 요인을 외부에서 찾는 예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경쟁사가 너무 뛰어났다. 시간이 없었다. 운이 없었다 등등'. 실제로 외부 요인들로 인해 목표 달성이 어려워지는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하지만, 외부 요인을 실패 원인으로 단정 지으면 학습 없는 피드백이 된다. AAR 피드백이 진가를 발휘될 때는 외부 요인(장애물)에서 원인을 찾는 게 아닌 행동을 원인으로 피드백할 때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통제할 수 없는 영역에 집중하면 안 된다. 장애물은 그대로 있고 내가 어떻게 그 장애물을 돌파할 것인가에 집중을 해야한다. 외부적인 요인이 있다면 나는 어떻게 행동함으로 그 장애물을 넘을 수 있을까?를 고민해야한다. 만약 시간이 없어서 목표 달성을 못 했다면, 무슨 행동 때문에 시간이 없었는지, 그 시간에 무엇을 했는지에 대한 원인을 파악해야한다.
4. 예기치 않은 성공과 실패는 무엇인가?
목표를 달성할 때 예기치 않은 요소로 인해 목표를 빨리(또는 못) 달성했을 수 있다. 어떤 예기치 않은 요소가 있었는지 피드백 해야한다. 예기치 않은 요소로 성공했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예기치 않은 요소가 계획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대한 모든 성공 요소가 계획에 포함되어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기치 않은 요소는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 항목을 통해 중점으로 피드백 해야 할 것은 혁신이다. 어떤 예기치 않은 성공이 예상한 달성 목표를 훨씬 뛰어 넘거나 달성 시간을 단축시키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 예기치 않은 성공을 추후 전략에 반영시켜 장애물을 돌파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으로 사용한다.
5. 계속해야 할 것과 버려야 할 것은 무엇인가?
3번과 4번의 행동 패턴과 원리를 학습했다면 앞으로 어떻게 전략을 세울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적는다. 성공적인 행동 패턴을 유지하면서 실패한 행동을 보완해 나간다. 예기치 않은 성공을 전략에 포함시키므로 달성 목표에 더욱 가깝게 근접한다. AAR 피드백을 통해 나의 성공 원리와 전략을 다듬어 나가면서 성공적인 습관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다.
혁신은 새로운 시장을 창조하는 행위이다. (0) | 2020.05.01 |
---|---|
실패에 대한 정의와 원칙 (0) | 2020.03.29 |
댓글 영역